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방법 신청방법

오늘은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방법에 대한 정보를 다뤄보려고 합니다.
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방법 신청방법 1

미래에 대한 불안함과 현실의 갑갑함에 힘들어하는 청년들을 위해 정부가 만든 자산형성 복지 중 청년형 소장펀드가 새롭게 만들어졌습니다.
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를 가입하게 되면 절세효과를 누릴 수가 있고, 이로 인해 연말정산때 환급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대상자가 된다면 가입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
자세한 내용은 본문에서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혜택
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상품명 그대로 소득공제에 중점을 둔 자산형성 지원 금융상품 입니다.
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혜택

  • 소득공제 혜택 : 가입시 연 600만원 한도로 납입을 하게 되면 종합소득세 40% 소득공제 가능
  • 절세효과 :매년 600만원 납입시, 연간 240만원 소득공제 받아 연말정산시 약 40만원 돈 환급 가능

현재 연말정산을 했을 때 환급을 받지 못하는 분들도 있고 반대로 환수조치 당하는 분들도 있습니다. 이런 분들에게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가 도움이 될 수가 있습니다.

연소득 5천만원 이하의 근로소득자가 매년 600만원 납입하게 된다면 연간 240만원 소득공제를 받을 수가 있기 때문에 연말정산을 했을 때 약 40만원 환급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.

동영상이 편하신 분들은 아래 영상을 참고해주세요.

참고동영상

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대상자
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도 청년희망적금과 비슷한 자격요건을 갖춰야지 가입을 할 수가 있습니다.
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조건

  • 가입연령 : 만 19~ 34세 청년
    ※ 병역이행 기간 최대 6년 추가 인정
  • 소득조건 : 총 급여액 5천만원 이하 or 종합소득금액 3,800만원 이하

본 상품도 만 19~ 34세 청년이 가입을 할 수가 있습니다. 만 34세까지 이지만 병역이행 기간 중 최대 6년까지 추가로 인정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.

출생년도가 86년생은 만 34세가 넘게 되지만 2년동안 병역이행을 했다면 가입을 할 수가 있습니다. 단, 가입을 할 때 병역이행 내역을 증빙 할 수 있는 병적증명서를 제출해야 합니다.

소득조건은 총 급여액 5천만원 이하 혹은 종합소득금액이 3,800만원 이하 인 경우 가능합니다. 이번에도 2021년 자료는 조회가 되지 않으니 2020년 자료를 근거로 진행이 될 것 같습니다.

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방법
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방법은 어렵지 않습니다. 기존에 있는 은행이나 증권사 보험사 창구를 통해서 얼마든 가입이 가능합니다.

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가입방법

  • 가입기간 : 22년 1월 1일부터 23년 12월 31일까지
  • 신청방법 : 시중 은행 및 증권회사, 보험사 창구를 통해 가입 가능

가입기간은 22년 1월 1일부터 23년 12월 31일까지 기간은 매우 넉넉합니다. 지점이 있는 시중 은행 및 증권회사나 보험사 창구를 통해 가입이 가능하기 때문에 우선 전화로 상담을 받은 다음 방문하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.


복지멤버십 신청하기

정부에서 저소득층 및 차상위계층, 노인층에 대한 복지를 많이 만들어두었지만 신청을 하지 못해 못받는 분들이 많이 있습니다.

그런 분들을 위해 복지멤버십을 만들어두었고, 미리 신청을 하게 된다면 추후 받을 수 있을 때 지원을 할 수 있게 됩니다.

자세한 내용을 확인 후 꼭! 신청을 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.

복지멤버십 신청안내


같이 보기 좋은 글

Leave a Comment