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은 2023 주거급여 신청자격 금액 혜택 에 대한 정보 공유를 해드리려 합니다.
기초생활보장제도 중 저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해 주거급여를 지급해주는 제도가 있습니다. 주거급여 수급 대상자가 되면 1인가구 최대 33만원, 4인 가구 51만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.
지급 대상자와 신청방법은 본문을 통해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같이 읽으면 좋은 글
📍 미스터트롯2 투표방법 투표하기
📍 2023 WBC 월드베이스볼 클래식 감독 일정 명단
📍 정부지원금 20만원 받고 휴가가는 방법
📍 2023년 무료운세 신년운세 무료토정비결 TOP5 링크
📍 카톡에서 이것 신청하면 24만원 줍니다.
📍 신용점수 올리기 팁 6가지 중 40점 올리는 방법은?
주거급여란?
주거급여는 주거비 지원해주는 제도 입니다. 이 제도를 오해하고 있는 분들은 무주택자들만 지원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.
하지만 집을 소유하지 않은 무주택자 혹은 저소득층 가구 중 오래 된 집을 소유하고 있을 경우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.
또, 2021년부터는 주거급여 수급가구의 자녀가 독립을 했을 때, 개별적으로 분리지급 할 수 있도록 개선이 되기도 했습니다.
주거급여 지급 대상
중위소득 | 1인가구 | 2인가구 | 3인가구 | 4인가구 | 5인가구 | 6인가구 |
47% 주거급여수준 | 97만6609 | 162만4394 | 208만4363 | 253만8453 | 297만5423 | 339만7151 |
중위소득 47% 이하의 가구는 주거급여 수급대상자에 포함이 됩니다. 또, 부양의무자 기준이 폐지 됨으로 인해 소득 인정액만 45% 미만으로 확인이 되면 주거급여 신청 할 수 있습니다.
주거급여 지급액
주거급여는 임차가구와 자가가구 지급 기준으로 나눠서 지급이 됩니다.
임차가구 지급액
구 분 | 1급지 (서울) | 2급지 (경기,인천) | 3급지 (광역시,세종시,특례시) | 4급지 (그외) |
1인가구 | 33만 | 25.5만 | 20.3만 | 16.4만 |
2인가구 | 37만 | 28.5만 | 22.6만 | 18.5만 |
3인가구 | 44.1만 | 34.1만 | 27만 | 22만 |
4인가구 | 51만 | 39.4만 | 31.3만 | 25.6만 |
5인가구 | 52.8만 | 40.7만 | 32.3만 | 26.4만 |
6인가구 | 62.6만 | 48.2만 | 38.2만 | 31.3만 |
지역별로 급지가 분류되어져 있으며 1급지인 서울의 경우 1인 가구는 최대 33만원, 4인 가구는 최대 51만원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기준 중위소득 % | 1인 가구 | 2인 가구 | 3인 가구 | 4인 가구 | 5인 가구 | 6인 가구 |
기준 중위소득 | 2,077,892 | 3,456,155 | 4,434,816 | 5,400,964 | 6,330,688 | 7,227,981 |
단, 수급자의 소득인정액이 생계급여 선정기준을 초과 할 경우, 자기부담금 차감이 되고 급여 산정금액이 1만원 미만인 경우 1만원을 지급 해줍니다.
수선유지급여
구 분 | 경보수(3년) | 중보수(5년) | 대보수(7년) |
지원금액 | 457만원 | 849만원 | 1241만원 |
수선내용 | 도배,장판,창호교체등 | 창호,단열,난방공사등 | 지붕,욕실 및 주방개량등 |
저소득가구 중 노후 된 주택을 소유한 경우, 수선유지급여가 지급이 됩니다.
소득인정액이 생계급여 기준 이하인 경우, 100% 지급되며, 생계급여 기준 35% 이하인 경우 90% 지원, 소득인정액이 35%~ 46% 이하인 경우 80%, 도서지역은 10% 가산지원이 됩니다.
주거급여 신청방법
- 온라인
복지로 신청 - 오프라인
주소지 관할 읍, 면, 동 주민센터 - 준비서류
– 사회보장급여 제공 신청서
– 신분증
– 소득 및 재산 신고서
– 금융정보 제공 동의서
– 임대차 계약서 및 사용대차 확인서 등 부동산 관련 서류
– 통장사본
주거급여는 복지로 혹은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를 통해서 신청 할 수 있습니다. 신청시 필요한 서류가 있습니다.
복지로는 검색사이트를 통해 접속 할 수가 있으며 번거로우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.
복지멤버십 가입 안내
우리나라 국민들이 받을 수 있는 복지는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. 이런 복지를 잘 찾아서 혜택을 받는 분들이 있는 반면 해당이 되는지 몰라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.
이런 복지를 보다 편하게 신청하고 혜택 받을 수 있도록 복지멤버십이 만들어졌습니다. 가입을 하면 본인이 받을 수 있는 복지혜택을 바로 알 수 있습니다.
이제부터 받을 수 있는 혜택을 모두 받으셨으면 좋겠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