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신청에 대한 알찬 정보를 제공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
노후 준비를 해놓은 분들 말고 그렇지 않은 분들은 막막하실 수가 있습니다. 다행히 이런 분들 중 집을 갖고 계신 분이라면 주택연금을 통해서 부족한 노후의 생활비를 지급 받으실 수가 있습니다.
주택연금 가입하는 방법과 신청에 대해 본문을 통해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같이 읽으면 좋은 글
📍 2023 WBC 월드베이스볼 클래식 감독 일정 명단
📍 정부지원금 20만원 받고 휴가가는 방법
📍 2023년 무료운세 신년운세 무료토정비결 TOP5 링크
📍 카톡에서 이것 신청하면 24만원 줍니다.
📍 신용점수 올리기 팁 6가지 중 40점 올리는 방법은?
주택연금제도란 무엇인가요?
주택연금은 공적연금에 속하는 국민연금 말고 다른 연금으로 고령자 분 중 소득이 적지만 주택을 갖고 있는 분들은 이를 담보로 일정기간 생활자금을 받을 수 있는 연금제도 입니다.
일정 연금을 받던 중 사망을 하거나 이사를 하게 되면 담보 잡았던 주택을 처분한 다음 대출을 상환하게 되면서 주거안정과 생활 안정까지 보장을 받을 수 있는제 도입니다.
우리나라는 베이비부머 세대가 은퇴를 하면서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이 되고 있습니다. 이런 노년층의 경제적 자립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상태 입니다.
국민연금의 경우, 출산율이 줄고 생산 인구가 줄어들게 되면서 뉴스와 언론에서는 고갈 얘기가 나오고 있는 상태이고 연령 연장 및 지급액 축소 등 안좋은 소식만 들리고 있습니다.
이러한 상황에서 2007년에 출시를 했던 주택연금제도는 연간 누적 가입자수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상태 입니다.
주택연금 장점
주택연금의 장점은 총 4가지로 나눠지게 됩니다.
평생거주 및 평생동안 지급 받을 수 있다.
가입자 부부 중 한분이 돌아가시더라도 주택연금은 지속적으로 보장이되며, 가입한 다음에도 그 집에서 평생거주 할 수 있습니다.
주택연금은 국가가 보증한다.
주택연금은 국가에서 보장을 하기 때문에 중단을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.
상속을 합리적으로 할 수 있다.

만약 가입자 부부가 사망을 한다면 주택을 처분하고 정산을 하면 됩니다. 만약 연금 수령액이 집값을 초과해도 상속인들에게 청구되지 않습니다. 단, 집값이 남으면 상속인들에게 돌아가게 됩니다.
세금 감면을 받을 수 있다.

주택연금을 통해서 세제 혜택을 누릴 수도 있습니다.
주택연금 가입조건
주택연금은 크게 3가지 가입조건을 갖고 있습니다.
나이 조건
본인 혹은 배우자의 나이가 55세 이상인 경우 주택 소유자는 주택연금에 가입을 할 수가 있습니다. 이때 나이는 주택에 저당권 설정 등기를 설정한 시점을 기준으로 정하게 됩니다.
주택 유형 및 가격
주택은 공시 가격 9억 이하의 주택 또는 노인복지주택, 준주택 등 주거를 목적으로 사용하는 오피스텔까지 가능합니다.
만약 공시가격이 없을 경우에는 주택금융 운영위원회가 정하는 주택연금 보증기준에 의거해서 가격이 정해지게 됩니다.
보유 주택수
보유 주택은 1주택이어야 하고 일시적으로 2주택이 됐을 때는 담보주택 외 1주택을 일정한 기간 안에 처분을 해야 하는 조건이 걸리게 됩니다.
주택연금 지급방식 및 수령금액
주택연금을 신청 후 연금을 지급 받는 방법은 크게 종신지급과 확정기간, 대출상환, 우대 방식 등 중 선택해야 합니다.
종신지급방식
종신방식은 종신 지급방식고 종신 혼합방식으로 나눠 집니다. 종신 지급방식은 인출한 돈의 설정없이 월에 지급금을 종신때까지 받는 방식입니다.
종신 혼합방식은 인출한 돈 중 50% 이하 설정한 다음 나머지를 월 지급금을 종신토록 받는 방식 입니다.
일반주택

부부 나이가 70세가 됐을 때, 갖고 있는 집이 3억인 경우 매달 92만 6천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노인복지주택

부부 나이가 70세가 됐을 때, 갖고 있는 집이 3억인 경우 매달 78만 5천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주거목적 오피스텔

부부 나이가 70세가 됐을 때, 갖고 있는 집이 3억인 경우 매달 73만 2천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확정기간 방식
신청자가 선택한 기간동안 월 지급금을 받을 수 있는 것이 확정기간 방식 입니다. 또 그 안에 확정기간 혼합방식이라고 있습니다.
이는 수시 인출한도를 설정을 한 다음에 나머지 금액을 월 지급금으로 정해진 기간동안 지급 받는 것 입니다.
확정기간 방식을 선택하게 된다면 대출한도 5%의 해당하는 금액을 인출한도로 설정해야 합니다.
일반주택

부부 나이가 70세가 됐을 때, 갖고 있는 집이 3억인 경우 매달 158만 2천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주거목적 오피스텔

부부 나이가 70세가 됐을 때, 갖고 있는 집이 3억인 경우 매달 126만 9천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대출상환 방식
이 방식은 주택담보대출 상환용이며, 인출한도 안에서 한번 찾아 쓰고 남은 금액을 월 지급금으로 지급을 받는 방식 입니다.
대출한도는 50~ 90% 이하 입니다.
일반주택

주택가격이 1억 일 때, 55세에 받을 수 있는 금액은 2700만원 입니다. 나이에 따라 받는 금액은 달라지게 됩니다.
주거목적 오피스텔

주택가격이 1억 일 때, 55세에 받을 수 있는 금액은 1900만원 입니다. 나이에 따라 받는 금액은 달라지게 됩니다.
우대 방식
주택 명의자나 배우자가 기초연금을 받고 있을 경우, 1주택 보유 인 경우 종신방식보다 월 지급금을 최대 13% 우대해서 받을 수 있는 방식 입니다.
이때 우대 지급방식과 우대 혼합방식 중 선택 할 수 있습니다.
우대지급은 인출한도를 설정하지 않고 우대 받은 월 지급금을 종신토록 지급 받는 것이고, 우대 혼합방식은 인출한도를 설정 후 나머지 금액을 우대 받는 월 지급금으로 받는 방식 입니다.
일반주택

주택가격이 1억인 경우, 55세 2700만원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.
주거목적 오피스텔

우대방식으로 헀을 때, 월 지급금은 1억 5천 일 때 한 종신 지급방식의 월 지급금을 넘어서 받을 수는 없습니다.
주택연금 가입방법

주택연금을 신청 할 때는 한국주택금융공사 사이트에 접속을 하면 됩니다. 접속을 하고 주택연금을 클릭 한 다음 인터넷 신청하기를 눌러주세요.

신청 페이지가 열리게 되면 주택연금 신청을 눌러주세요.

화면과 똑같이 나왔다면 주택연금 신청하기를 눌러주세요.

또,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되면 담보제공 창에 나오게 되고 이 중 원하는 방식을 선택한 후 다음 버튼을 눌러주세요.


위와 같이 정보제공 페이지가 뜬다면 필수사항을 포함해서 동의 체크를 해주세요.

신청내용에 보면 지급 방식과 근저당, 신탁등기 설정 희망일 등을 선택 할 수 있습니다. 원하는 내용으로 선택하고 예상금액 조회와 영업점 검색해서 원하는 영업점을 선택해주세요.

신청한 정보를 잘 넣었는지 확인 후 신청하기를 하시면 완료가 됩니다. 이렇게 신청을 한 다음 2~ 4일 뒤 승인을 받게 됩니다.
주택연금 제출서류

신청때 필요한 서류는 주민등록 등본 2장과 전입세대 열람표 1장이 있으면 됩니다. 단, 방식에 따라서 서류가 달라질 수가 있으니 참고하세요.
근저당권 설정 및 저당권 방식
- 인감증명서 2부
- 가족관계증명서 1부
- 등기권리증 원본 1부
신탁계약 및 등기 / 신탁 방식
- 인감증명서 2부
- 가족관계증명서 1부
- 등기권리증 원본 1부
- 지방세 납세증명서